본문 바로가기
정보

샤오미 로봇청소기, 멈췄을 때 바로 해결하는 방법 총정리

by 321sfsakf 2025. 8. 10.

샤오미 로봇청소기, 멈췄을 때 바로 해결하는 방법 총정리

 

목차

  • 1. 로봇청소기가 멈추는 가장 흔한 원인 5가지
  • 2. 간단한 초기화 방법: 리셋 버튼 활용하기
  • 3. 센서 청소하기: 먼지 쌓임 문제 해결
  • 4. 바퀴 및 브러시 점검: 이물질 제거
  • 5. 충전 문제 해결: 접촉 불량 및 배터리 점검
  • 6. 앱(Mi Home) 연동 문제 해결
  • 7.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펌웨어 재설치
  • 8. 만약 모든 방법을 시도해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1. 로봇청소기가 멈추는 가장 흔한 원인 5가지

샤오미 로봇청소기가 갑자기 작동을 멈추거나 오류 메시지를 뱉어낼 때, 당황하지 마세요. 대부분의 문제는 간단한 조치만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로봇청소기가 멈추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는 바퀴에 머리카락이나 실 같은 이물질이 얽혀 회전을 방해하는 경우입니다. 두 번째는 추락 방지 센서나 LDS(레이저 거리 센서)에 먼지가 쌓여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세 번째는 배터리 방전 또는 충전 단자에 이물질이 끼어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입니다. 네 번째는 앱(Mi Home)과의 연동 오류나 펌웨어 문제로 인해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마지막으로, 카펫이나 문턱에 걸려 스스로 빠져나오지 못하는 물리적인 원인도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2. 간단한 초기화 방법: 리셋 버튼 활용하기

대부분의 로봇청소기 문제는 기기를 재부팅하는 것만으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 마치 스마트폰이 버벅거릴 때 재부팅하면 해결되는 것과 같습니다. 샤오미 로봇청소기 모델마다 리셋 버튼의 위치는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전원 버튼을 5~10초간 길게 누르거나 커버를 열면 숨겨진 리셋 버튼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봇청소기 뚜껑을 열었을 때 Wi-Fi 표시등 옆에 있는 작은 구멍이 리셋 버튼일 수 있습니다. 뾰족한 도구(클립 등)를 사용하여 이 구멍을 5초 정도 누르면 기기가 완전히 꺼졌다가 다시 켜지면서 초기화됩니다. 이 방법은 복잡한 오류나 앱 연동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시도해 볼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3. 센서 청소하기: 먼지 쌓임 문제 해결

로봇청소기가 벽에 부딪히거나 특정 위치를 계속 맴도는 등 이상 행동을 보인다면 센서 문제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로봇청소기에는 크게 세 가지 센서가 있습니다. 앞부분에 위치한 범퍼 센서, 바닥면에 있는 추락 방지 센서, 그리고 상단에 있는 LDS(레이저 거리 센서)입니다. 이 센서들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면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됩니다.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마른 천이나 부드러운 면봉을 사용해 로봇청소기 전체를 꼼꼼하게 닦아주세요. 특히 LDS는 렌즈처럼 생겼는데, 이 부분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청소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락 방지 센서의 경우, 보통 바닥면에 검은색 띠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을 닦아주면 계단이나 단차를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바퀴 및 브러시 점검: 이물질 제거

로봇청소기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한쪽으로만 회전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바퀴와 브러시를 점검해야 합니다. 로봇청소기를 뒤집어 보면 메인 브러시와 사이드 브러시, 그리고 두 개의 구동 바퀴가 보입니다. 가장 흔한 문제는 머리카락, 털, 실 등이 바퀴와 브러시에 엉겨 붙어 회전을 방해하는 것입니다. 특히 메인 브러시는 분리가 가능하므로, 동봉된 청소 도구를 사용해 엉켜 있는 머리카락을 깔끔하게 잘라내고 제거해야 합니다. 사이드 브러시의 경우 나사를 풀어 분리한 후 엉킨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퀴의 경우, 휠 축에 감겨 있는 머리카락까지 모두 제거해야 부드러운 움직임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5. 충전 문제 해결: 접촉 불량 및 배터리 점검

로봇청소기가 충전 독으로 돌아가지 않거나,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가 발생하면 충전 단자를 확인해야 합니다. 로봇청소기 본체와 충전 독에 있는 금속 단자에 먼지나 이물질이 끼어 있으면 전기가 제대로 통하지 않아 충전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마른 천을 사용해 양쪽의 금속 단자를 깨끗하게 닦아주세요. 또한, 충전 독이 벽에 제대로 밀착되어 있는지,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충전 단자를 청소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배터리 수명이 다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로봇청소기를 오래 사용했다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샤오미 서비스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6. 앱(Mi Home) 연동 문제 해결

스마트폰의 Mi Home 앱을 통해 로봇청소기를 제어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면, 앱과 기기 간의 연동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가장 흔한 문제는 Wi-Fi 연결 오류입니다. 로봇청소기가 사용하는 Wi-Fi 네트워크가 변경되었거나, 공유기의 위치가 바뀌어 신호가 약해졌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앱을 통해 로봇청소기의 Wi-Fi 설정을 초기화하고 다시 연결해 보세요. 앱 내에서 기기 설정으로 들어가 Wi-Fi 재설정 옵션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앱 자체의 오류일 수도 있으므로, 앱을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하거나, 앱을 삭제한 후 재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Mi Home 앱은 업데이트를 통해 버그를 수정하므로,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펌웨어 재설치

위의 모든 물리적인 조치를 취했는데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샤오미 로봇청소기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버그를 수정합니다. Mi Home 앱을 열어 로봇청소기 설정으로 들어간 후 펌웨어 업데이트 메뉴를 확인해 보세요. 최신 버전의 펌웨어가 있다면 즉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만약 이미 최신 버전인데도 문제가 계속된다면, 펌웨어가 손상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여 펌웨어 재설치를 요청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펌웨어 문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정확합니다.

8. 만약 모든 방법을 시도해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위에서 제시한 모든 방법을 시도했는데도 여전히 로봇청소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내부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해결하기 어렵고, 자칫 잘못하면 더 큰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샤오미 고객센터 또는 공식 AS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구매 시점을 확인하여 무상 보증 기간이 남아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증상을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하고, 시도했던 해결 방법을 이야기하면 더욱 신속한 진단과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로봇청소기를 분해하거나 내부를 임의로 조작하는 행동은 삼가야 합니다.